본문 바로가기

독서

완벽한 공부법

 

완벽한 공부법

 

저  자 : 고영성, 신영준

출판사 : 로크미디어
발행일 : 2017. 1. 6.

 

[출판사 서평]

 

우리는 왜 공부를 해야 하는가?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하는가? 
당신이 궁금해 하는 공부에 대한 모든 것이 담겨져 있다
 

왜 공부를 해야 하는가? 
공부는 재능인가 노력인가? 
기억은 무엇이며 어떻게 오래 기억할 수 있을까? 
영어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는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가? 
동기부여는 어떻게 얻을 수 있을까? 
목표가 왜 중요하며 어떻게 하면 효과적인 목표 설정을 할 수 있을 것인가? 
감정이 공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시험 불안은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수면, 운동 등이 공부에 얼마나 큰 역할을 하는가? 
어떻게 환경 설정을 해야 공부의 효율을 올릴 수 있을까? 
메타인지가 무엇이고 공부에 왜 중요한가? 
독서가 왜 필요하고 그 효용은 무엇일까? 

『완벽한 공부법』은 학습자가 고민하고 알고자 하는 거의 모든 내용이 과학적 근거와 실질 사례를 통해 총망라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인 학습자가 몰랐을 만한 새로운 공부지식과 정보들을 최대한 많이 담아냈으며 직접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완벽한 공부법』을 통해 학습자는 자신에게 맞는 최적의 공부법을 구축할 수 있는 것이다. 

시험공부보다 더 중요한 공부들이 있다 
학생부터 직장인들까지 모두를 위한 최고의 공부 지침서
 

우리는 수능 시험, 공무원 시험, 토익 시험, 입사 시험 등에 성공하면 모든 것이 끝날 것 같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공부는 대학을 졸업하고 직장을 다니면서도 끊임없이 해야 하며 시험공부 이외에 인생의 성장과 성공을 위해 중요한 공부는 많다.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창의성, 협업 능력, 말하기와 발표, 문해력, 의사결정 등 사회생활을 성공적으로 하기 위해 해야 할 공부는 너무나 많다. 
『완벽한 공부법』은 당신의 성공과 성장을 위해 그 모든 것을 심도 있게 다룬다. 

훌륭한 학교생활 
탁월한 대학교/대학원 생활 
경쟁력 있는 직장 생활 
성공적인 창업 
건강한 노후 생활 

이 모든 것을 관통하는 한 가지는 ‘공부’이다. 공부 하나만으로 이 모든 것을 다 해낼 수는 없지만 만약 공부하지 않는다면 그 어떤 것도 해낼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공부를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 ‘공부를 어떻게 할 것인가?’이다. 

『완벽한 공부법』은 학생부터 직장인까지 모두가 제대로 된 공부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최고의 공부 지침서이다. 당신의 성장을 돕는 최고의 파트너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예스24 제공]


[차례]

Chapter 1 믿음: 공부는 믿는 대로 된다

Chapter 2 메타인지: 나를 모르면 공부도 없다

Chapter 3 기억: 기억력은 타고 나는 것이 아니다

Chapter 4 목표: 성공적인 목표 설정은 따로 있다.

Chapter 5 동기: 내게 자유를 달라

Chapter 6 노력: 노력은 결코 배신하지 않는다

Chapter 7 감정: 감정은 공부의 안내자이다

Chapter 8 사회성: 함께할 때 똑똑해진다

Chapter 9 몸: 몸은 공부의 길을 안다

Chapter 10 환경: 공부 효율은 환경 따라 달라진다

Chapter 11 창의성: 창의성은 지는이 아니라 태도이다

Chapter 12 독서: 독서는 모든 공부의 기초이다

Chapter 13 영어: 이번 기회에 제대로 배우자

Chapter 14 일: 실전처럼 공부하면 실전에서 통한다

""_P000

 

""_P000

 

[추천 도서 및 참고 자료]

...

[서평]

(객관적 정보_어떤책이며, 무엇을 주장하는가)

공부는 반드시 필요하며 누구나 한계를 정하지 않고 제대로된 방법으로 노력하면 목료를 이룰 수 있다. 

인생의 성장과 성공을 위해 공부는 반드시 필요하며 공부를 하지 않는다면 그 어떤 것도 해낼 수 없다

 

(주관적 해석_소감, 해석, 평가)

한자 한자 지금의 내가 공감하는 공부의 필요성과 부합하다.

내가 아는것과 모르는 것이 무엇이고 목표는 수치로 환산 가능한 실행 가능해야 하며

계속해서 점검과 반성, 개선을 통한 꾸준한 노력과 환경설정이 필요하다.